쾨페트다그 아시가바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쾨페트다그 아시가바트는 투르크메니스탄의 축구 클럽으로, 1947년 창단되어 소련 축구 리그에 참가했다. 소련 해체 후 투르크메니스탄 요카리 리가에서 6회 우승을 차지하며 강팀으로 자리매김했으며, 투르크메니스탄 컵에서 8회 우승을 기록했다. 2008년 재정 문제로 해체되었지만 2015년 재창단되어 투르크메니스탄 1부 리그에서 우승 후 요카리 리가로 승격했다. 국제 대회로는 AFC 챔피언스 리그, 아시안 컵 위너스 컵, AFC컵 등에 참가했다.
쾨페트다그는 1947년 창단되어 1991년까지 44회 동안 소련 축구 리그에 참가했다. 쾨페트다그는 로코모티프(1947–49), 스파르타크(1950–54), 콜호즈치(1956–59, 1976–87), 스트로이텔(1962–75), 쾨페트다그(1960, 1961, 1988–91) 등 여러 이름으로 리그에 참가했다.
2. 역사
쾨페트다그는 소련 리그 2부(1947-49)에서 1948년 3위를 기록했고, 소련 리그 B급(1950–54, 1956–63)에서는 1963년 2위를, 소련 리그 A급 2부(1964–69)에서는 1967년 4위를 기록했다. 소련 1부 리그(1970–74, 1976–79)에서는 1976년 9위를, 소련 2부 리그(1975, 1980–91)에서는 1975년 및 1991년 2위를 기록했다.
1980년대에는 발레리 네폼냐시치가 쾨페트다그의 코치로 활동하기도 했다.
소련 붕괴 이후 쾨페트다그는 CIS 오픈 챔피언십에 참가할 예정이었으나, 챔피언십은 개최되지 않았다. 독립 초기 쾨페트다그는 사실상 투르크메니스탄 축구 국가대표팀 역할을 수행했다.
쾨페트다그는 요카리 리가에서 6회 우승(1992, 1993, 1994, 1995, 1998, 2000)하며 강팀으로 자리매김했다. 투르크메니스탄 컵에서는 8회 우승(1992, 1993, 1994, 1997, 1999, 2000, 2001, 2018)을 기록했다. 2008년에는 재정적 어려움으로 해체되었지만, 이후 다시 복귀했다.
2015년, 투르크메니스탄 내무부의 지시에 따라 쾨페트다그가 재창단되었다.[3][9] 구단은 투르크메니스탄 1부 리그에 참가하여 우승을 차지하고 요카리 리가로 승격했다.[4][10]시즌 리그 투르크메니스탄 컵 최고 득점자 감독 디비전 포지션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이름 리그 2015 2위 1 28 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 16강 align=center| align=center| 사이드 세이도프/Saýid Seýidowtk 2016 1위 7 36 11 6 18 37 63 39 8강 align=center| align=center| 사이드 세이도프/Saýid Seýidowtk 2017 1위 7 32 9 6 17 35 55 33 8강 align=center| align=center| 사이드 세이도프/Saýid Seýidowtk 2018 1위 6 28 8 5 15 27 39 29 우승 align=center| align=center| 사이드 세이도프/Saýid Seýidowtk 2019 1위 4 28 11 6 11 33 37 39 준결승 align=center| align=center| 사이드 세이도프/Saýid Seýidowtk
차리 안나코프/Çarіýar Annakowtk
토피크 슈쿠로프/Tofik Şukurowtk2020 1위 4 28 11 8 9 33 27 41 준우승 align=center| align=center| 토피크 슈쿠로프/Tofik Şukurowtk 2021 1위 4 14 5 6 3 22 18 21 align=center| 베겐치 아크맘메도프/Begenç Akmämmedowtk 6 토피크 슈쿠로프/Tofik Şukurowtk
요카리 리가 승격 이후에는 중상위권 성적을 유지하고 있으며, 2018년에는 투르크메니스탄컵에서 우승을 차지하였다.
2. 1. 소련 시대 (1947-1991)
쾨페트다그는 1947년 창단되어 1991년까지 44회 동안 소련 축구 리그에 참가했다. 쾨페트다그는 로코모티프(1947–49), 스파르타크(1950–54), 콜호즈치(1956–59, 1976–87), 스트로이텔(1962–75), 쾨페트다그(1960, 1961, 1988–91) 등 여러 이름으로 리그에 참가했다.
쾨페트다그는 소련 리그 2부(1947-49)에서 1948년 3위를 기록했고, 소련 리그 B급(1950–54, 1956–63)에서는 1963년 2위를, 소련 리그 A급 2부(1964–69)에서는 1967년 4위를 기록했다. 소련 1부 리그(1970–74, 1976–79)에서는 1976년 9위를, 소련 2부 리그(1975, 1980–91)에서는 1975년 및 1991년 2위를 기록했다.
1980년대에는 발레리 네폼냐시치가 쾨페트다그의 코치로 활동하기도 했다.
2. 2. 투르크메니스탄 독립 이후 (1991-)
소련 붕괴 이후 쾨페트다그는 CIS 오픈 챔피언십에 참가할 예정이었으나, 챔피언십은 개최되지 않았다. 독립 초기 쾨페트다그는 사실상 투르크메니스탄 축구 국가대표팀 역할을 수행했다.
쾨페트다그는 요카리 리가에서 6회 우승(1992, 1993, 1994, 1995, 1998, 2000)하며 강팀으로 자리매김했다. 투르크메니스탄 컵에서는 8회 우승(1992, 1993, 1994, 1997, 1999, 2000, 2001, 2018)을 기록했다. 2008년에는 재정적 어려움으로 해체되었지만, 이후 다시 복귀했다.
2. 3. 재창단 (2015-)
2015년, 투르크메니스탄 내무부의 지시에 따라 쾨페트다그가 재창단되었다.[3][9] 구단은 투르크메니스탄 1부 리그에 참가하여 우승을 차지하고 요카리 리가로 승격했다.[4][10]
시즌 | 리그 | 투르크메니스탄 컵 | 최고 득점자 | 감독 | |||||||||
---|---|---|---|---|---|---|---|---|---|---|---|---|---|
디비전 | 포지션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이름 | 리그 | |||
2015 | 2위 | 1 | 28 | align=center| | align=center| | align=center| | align=center| | align=center| | 16강 | align=center| | align=center| | 사이드 세이도프 | |
2016 | 1위 | 7 | 36 | 11 | 6 | 18 | 37 | 63 | 39 | 8강 | align=center| | align=center| | 사이드 세이도프 |
2017 | 1위 | 7 | 32 | 9 | 6 | 17 | 35 | 55 | 33 | 8강 | align=center| | align=center| | 사이드 세이도프 |
2018 | 1위 | 6 | 28 | 8 | 5 | 15 | 27 | 39 | 29 | 우승 | align=center| | align=center| | 사이드 세이도프 |
2019 | 1위 | 4 | 28 | 11 | 6 | 11 | 33 | 37 | 39 | 준결승 | align=center| | align=center| | 사이드 세이도프 차리 안나코프 토피크 슈쿠로프 |
2020 | 1위 | 4 | 28 | 11 | 8 | 9 | 33 | 27 | 41 | 준우승 | align=center| | align=center| | 토피크 슈쿠로프 |
2021 | 1위 | 4 | 14 | 5 | 6 | 3 | 22 | 18 | 21 | align=center| | 베겐치 아크맘메도프 | 6 | 토피크 슈쿠로프 |
요카리 리가 승격 이후에는 중상위권 성적을 유지하고 있으며, 2018년에는 투르크메니스탄컵에서 우승을 차지하였다.
3. 우승 기록
3. 1. 투르크메니스탄
쾨페트다그 아시가바트는 요카리 리가에서 6회 (1992, 1993, 1994, 1995, 1998, 2000) 우승을 차지했으며, 투르크메니스탄 1부 리그에서 1회 (2015) 우승했다. 투르크메니스탄컵에서는 8회 (1992, 1993, 1994, 1997, 1999, 2000, 2001, 2018) 우승을, 투르크멘 SSR 컵에서는 1회 (1992) 우승을 기록했다. 투르크메니스탄 슈퍼컵에서는 준우승 1회 (2019)를 기록했다.
4. 국제 대회 기록
쾨페트다그 아시가바트는 아시아 클럽 선수권 대회에 총 5회 출전했다. 1995년 대회에서는 예선 라운드를 통과하여 8강에 진출하였으나, 조별 리그에서 4위를 기록했다. 1999년 대회에서도 조별 리그에 진출하였으나 4위를 기록했다. 1996-97년 대회와 2001-02년 대회에서는 모두 1라운드에서 탈락했다.
아시안 컵 위너스 컵에는 1회 출전하여 1997-98년 대회에서 4위를 기록했다. 준결승에서 사우디아라비아의 알 나스르에게 1-2로 패배했고, 3, 4위전에서 중국의 베이징 궈안에게 1-4로 패배했다.
AFC컵에는 2022년에 출전하여 F조 2위를 기록했다.
대회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아시아 클럽 선수권 대회 | 22 | 9 | 3 | 10 | 39 | 29 |
아시안 컵 위너스 컵 | 8 | 3 | 1 | 4 | 16 | 13 |
AFC컵 | 2 | 1 | 0 | 1 | 2 | 3 |
합계 | 32 | 13 | 4 | 15 | 57 | 45 |
4. 1. AFC 주관 대회
쾨페트다그 아시가바트는 아시아 클럽 선수권 대회에 총 5회 출전했다. 1995년 대회에서는 예선 라운드를 통과하여 8강에 진출하였으나, 조별 리그에서 4위를 기록했다. 1999년 대회에서도 조별 리그에 진출하였으나 4위를 기록했다. 1996-97년 대회와 2001-02년 대회에서는 모두 1라운드에서 탈락했다.아시안 컵 위너스 컵에는 1회 출전하여 1997-98년 대회에서 4위를 기록했다. 준결승에서 사우디아라비아의 알 나스르에게 1-2로 패배했고, 3, 4위전에서 중국의 베이징 궈안에게 1-4로 패배했다.
AFC컵에는 2022년에 출전하여 F조 2위를 기록했다.
대회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아시아 클럽 선수권 대회 | 22 | 9 | 3 | 10 | 39 | 29 |
아시안 컵 위너스 컵 | 8 | 3 | 1 | 4 | 16 | 13 |
AFC컵 | 2 | 1 | 0 | 1 | 2 | 3 |
합계 | 32 | 13 | 4 | 15 | 57 | 45 |
4. 2. 독립 국가 연합 컵
쾨페트다그 아시가바트는 1993년부터 2001년까지 독립 국가 연합 컵에 꾸준히 참가했다. 1993년, 1995년, 1996년, 1999년 대회에서는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1994년, 1997년, 1998년, 2001년 대회에서는 준결승에 진출했다.5. 역대 감독
쾨페트다그 아시가바트의 감독은 소련 시절부터 여러 인물이 거쳐갔다. 알렉세이 소콜로프(1950-51), 레오 올샨스키(1952-53), 스테판 아루튜노프(1957), 블라디미르 알랴크린스키(1964), 블라디미르 에레메예프(1965-66), 세르게이 부다가프(1967-68, 1971), 홀로드코프 세라핌(1969), 세르게이 코르슈노프(1970년 6월), 블라디미르 율리긴(1973-74, 1986), 빅토르 쿠즈네초프(1975-78, 1987), 아나톨리 폴로신(1979년 6월 11일까지), 발레리 네폼냐시치(1979년 6월 11일, 1982-83), 에드워드 다닐로프(1984), 아르센 나이디오노프(1985), 블라디슬라프 카자코프(1988), 빅토르 오를로프(1989) 등이 소련 시절 쾨페트다그를 이끌었다.
투르크메니스탄 독립 이후에는 바이라무르드 뒤르디예프(1990-96, 2001-02), 보리스 라브로프(1997-98), 타치무라드 아가무라도프(1998년 7월, 2000-01), 빅토르 포제체프스키(1998년 7월-1999년 1월), 라빌 멘젤레예프 - 세르게이 카잔코프(1999), 베르디미라트 누르무라도프(2003-07) 등이 감독직을 수행했다. 특히 발레리 네폼냐시치는 1980년대에 쾨페트다그의 코치로 활동하며 팀 발전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2015년 재창단 이후에는 사이드 세이도프(2015-2019년 5월), 차리 안나코프[5](2019년 5월-2019년 6월), 토피크 쉬쿠로프[6](2019년 6월-2024년 8월), 베겐치 가라예프 (2024년 8월 – )[7]가 감독을 역임했다.
6. 선수 명단
6. 1. 역대 주요 선수
참조
[1]
웹사이트
https://turkmenistan[...]
[2]
웹사이트
Köpetdag FK - Soccer - Team Profile - Results, fixtures, squad, statistics
https://globalsports[...]
Global Sports Archive
2019-07-06
[3]
웹사이트
Золотой век
http://turkmenistan.[...]
2019-06-28
[4]
웹사이트
Состоялась жеребьевка Кубка Туркменистана по футболу - Спорт
https://turkmenporta[...]
2019-06-28
[5]
웹사이트
Чары Аннаков: "Задача у "Копетдага" – быть в первой тройке чемпионата Туркменистана" | Спорт
https://turkmenporta[...]
2019-08-04
[6]
웹사이트
"Ахал" вырвал победу у "Шагадама" на последних минутах и сократил отставание от лидера | Спорт
https://turkmenporta[...]
2019-08-04
[7]
웹사이트
https://turkmenistan[...]
[8]
웹사이트
https://globalsports[...]
[9]
웹사이트
Золотой век
http://turkmenistan.[...]
2019-06-28
[10]
웹사이트
Состоялась жеребьевка Кубка Туркменистана по футболу - Спорт
https://turkmenporta[...]
2019-06-28
[11]
웹사이트
https://turkmenporta[...]
[12]
웹사이트
https://turkmenport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